반려동물은 가족과 같은 존재로 이별은 매우 슬픈 일입니다. 하지만 나이 많고 아픈 강아지와 생활하다 보면 강아지 장례식에 관심이 가는데 그럼 자연스럽게 어떤 종류의 장례식이 있는지 궁금증이 들게 됩니다. 반려동물과의 추억을 아름답게 마무리하고 추억을 간직할 수 있게 강아지 장례식 종류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1. 화장
가장 기본적인 장례 유형으로 시신을 불태워 유골을 수습한 후 분골하는 방법입니다. 유골함에 담길 유골은 보통 납골당에 안치하게 됩니다. 강아지 화장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일임 개별 화장은 합동 화장과는 달리 반려견 유골이 잘 남는 방법입니다. 입회 개별 화장은 가족이 입회하여 화장하는 방법으로 강아지 화장을 담당하는 업체 직원에게 반려견의 시신을 맡겨 화장하는 방식입니다. 합동 화장은 여러 마리의 반려동물을 한꺼번에 화장하는 방법으로 비용이 저렴합니다. 마지막으로 방문 화장은 집까지 차가 와서 화장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2. 수목장
다음으로 소개할 강아지 장례식 종류는 수목장입니다. 화장한 분골을 나무뿌리 밑 또는 화분에 묻어주는 방법으로 강아지를 자연으로 돌려보내 준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수목장은 주로 전문 반려동물 장례식장에서 진행되며, 1년 단위 계약으로 이루어집니다. 강아지 수목장 비용은 1년 기준 30만 원에서 50만 원 선으로 책정되며 장례식장 위치와 나무의 종류, 관리 서비스에 따라 비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수목장은 단체 수목장과 단독 수목장으로 나뉘며 단독은 나무 한 그루 밑에 단독으로 묻는 형태고 단체는 나무 한 그루를 중심으로 다른 강아지의 수목함과 빙 둘러서 묻는 형태입니다.
3. 산골
산골은 유골을 강과 산 등 자연에 뿌려주는 강아지 장례식 종류입니다. 그러나 사실 유골분(가루)을 근처 뒷산 같은 공공 지역이나 근린 지역에 뿌리는 행위는 불법입니다. 따라서 반려동물 장례식장 내에도 사람 화장터와 마찬가지로 유택동산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장례식장마다 다르지만 보통 3만 원 내외의 비용을 통해 이용이 가능하고 산골 터를 이용한 보호자들은 방문할 반려동물 장례식장에 산골터가 있는지 미리 알아보고 가야 합니다. 그리고 해양장은 바다에 유골을 뿌리는 장례 방법으로 육지로부터 5km 이상 떨어진 바다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해양장을 위해 배를 빌릴 경우 비용이 비싸질 수 있습니다.
4. 집에서 유골 보관
집에서 유골을 직접 보관하는 방법으로 보호자들이 많이 선호하는 추모 방법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유골에 곰팡이나 벌레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습도나 온도 변화에 꼭 신경을 써야 합니다. 유골은 습도에 민감하다 보니 유골함은 습도 관리에 유리한 자재로 만들어진 함이 많습니다. 뚜껑부에 실리콘을 애용해 습기가 내부로 스며드는 걸 막아주고 내부 재질에 숯(탄소)을 포함해 내부에 스며든 습기를 잡아 습도를 낮춰 주는 기능상 유골함을 사용해야 합니다. 그리고 유골함을 보관하는 장소가 유독 습도가 높은 환경일 경우 유골함 내부에 작은 습기 제거제를 넣어주거나 작은 박스에 유골함과 옷장용 습기 제거제를 같이 담아 밀봉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5. 메모리얼 스톤
메모리얼 스톤도 강아지 장례식 종류 중 하나고 유골함 다음으로 많은 반려인들이 선호하는 방식입니다. 강아지의 유골을 고온과 고압으로 압축해 만드는 특별한 추모석입니다. 메모리얼 스톤 제작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인공 화합물 등을 첨가하여 스톤을 만드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 방식은 보다 더 아름답고 인위적인 모양을 만들기 위해 스톤에 인공적인 이물질을 넣거나 도가니 등에 혼합하여 제작하는 것으로 화학성분이 추가되었기에 단단하고 잘 깨지지 않으며 균일하게 보석이 연상되듯 아름다운 색을 띱니다. 두 번째 방법으로는 유골과 물만의 결합으로 만드는 리멤버 스톤이 있으며 다른 물질은 전혀 첨가하지 않고 유골에 따라 색이 다르게 나옵니다.
'반려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 심장 사상충에 대해서 (0) | 2025.03.13 |
---|---|
강아지 필수 영양소 5가지 소개 (2) | 2025.03.12 |
반려동물 등록제 소개 (5) | 2025.03.10 |
강아지에게 해로운 음식 소개 (2) | 2025.03.09 |
강아지 중성화에 대해서 (1) | 2025.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