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려동물

강아지 심장병에 대해서

by willy0723 2025. 3. 22.
반응형

내가 키우는 강아지가 점점 노령견이 되면서 가장 위험한 질병 중 하나가 바로 심장병입니다. 심장질환은 증상이 보이더라도 놓치기 쉽고, 발견 후에도 추이를 예측하기 어려운 질병 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심장이 좋지 않은 신호들을 보낼  때 보호자들이 빨리 알아차리는 것이 중요한데 강아지 심장병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강아지 심장병 종류

강아지 심장병은 선천성 심장질환과 노화로 인한 후천성 심장질환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중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폐동맥 협착증이나 대동맥 협착증이나 동맥관개존증은 선천성 심장질환에 해당합니다. 선천성 심장질환은 대표적으로 엄마 뱃속의 혈액순환에서 사용하고 태어나면서 사라져야 할 혈관이 닫히지 않아 생기는 동맥관개존증(PDA), 폐동맥 또는 대동맥의 입구가 좁아지면서 발생하는 판막 협착증은 우심실의 출구가 좁아진 상태에서 혈액의 흐름이 나빠지고 우심실이 비대해지면서 순환부전이 일어나는 심장 질환입니다.


2. 강아지 심장병 원인

강아지 심장병 중 하아니 동맥관 개존증은 특별한 발생 원인이 밝혀지진 않았지만, 유전적 원인이 가장 큰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동맥관 개존증을 초기에 발견하지 못하면 강아지가 한참 발랄하게 뛰어다닐 1~2세 시기에 쉽게 피곤해하고 대표적인 견종으로는 셔틀랜드 십독, 포메라니안, 미니어처 닥스훈트, 웰시코기 등에서 자주 발견됩니다. 판막 협착증은 대형견은 주로 대동맥 협작증, 중소형견은 폐동맥 협착증이 발생할 비율이 높고 생후 8주 이내에 대동맥 판막 주변에 발생하는 섬유성 변화로 발생합니다.

 

3. 강아지 심장병 증상

강아지 심장병 증상으로는 기침 증가가 있습니다. 반려견의 기침횟수가 증가했다면 한 번쯤은 심장병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기침을 주로 낮에 하는지 밤에 하는지 마른 기침인지 분비성 기침인지 특징적으로 목에 걸릴 듯한 기침을 하는지 거위울음소리를 내지는 않는지 등을 파악해야 합니다. 다른 증상으로는 호흡곤란이 있습니다. 정상적인 강아지의 안정기 분당호흡수는 20회 이하인데 심장병에 의해 폐수종이나 흉수가 발생해 잦은 호흡이 일어나면 분당호흡수가 50회를 넘어간다. 그 외에도 운동능력의 현저한 저하, 실신, 청색증이 있습니다.


4. 강아지 심장병 치료법

강아지 심장병 치료법은 첫째 개흉 후 혈관에 직접 접근해 수술로 동맥관을 묶는 방법과 두번째 혈관 내부에 ACDO라는 장치를 넣어 동맥관을 막는 방법이 있습니다. 인터벤션이라고 하는 중재적 시술은 반려동물 치료를 위해 많이 쓰이는 최신 시술 방법으로 카테터로 부르는 가느다란 관을 혈관에 삽입해 질병부위까지 가는 경로를 만들어 질병부위에 치료 약물을 주입하는 시술을 하거나 기구를 설치하기도 합니다. 카테터를 강아지의 사타구니 쪽 작은 혈관을 이용해 심장까지 밀어 넣은 후 동맥관 폐쇄기구를 삽입하는 시술입니다.


5. 강아지 심장병 관리방법

강아지가 심장질환이 있는 상태에서는 긴 산책이나 운동이 오히려 심장에 무리 줄 수 있습니다. 또, 외출로 인한 흥분 상태, 긴장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최대한 아이가 흥분하지 않고 안정된 상태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주의해야 하고 밖에 나갔을 때에도 강아지에게 두려움이나 흥분을 유발할 수 있는 요소들을 최대한 피해야 합니다. 심장병은 보통 주기적인 내원을 통해 약을 처방받게 되는데 주기적으로 한 번씩 검진도 진행해야 합니다. 심장병 처방식은 나트륨 함량이 낮게끔 설계되어 혈압을 낮게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염분과 지방이 낮은 음식 바나나, 브로콜리, 토마토 등을 급여하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