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려동물

강아지 기관지 협착증에 대해서

by willy0723 2025. 3. 23.
반응형

강아지를 키우다 보면 평상시와 다를 것 없는 일상 생활 중 한 번씩 갑자기 강아지가 켁켁 소리를 낸다거나 꺼억 꺼억 하는 거위 소리를 내는 것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겁니다. 단순 기침인가 보다 하고 지나칠 수도 있지만 반복적으로 거위 소리 혹은 켁켁 소리를 낼 경우에는 강아지 기관지 협착증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강아지 기관지 협착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강아지 기관지 협착증이란

강아지 기관지 협착증이란 강아지의 기관은 탄력이 있는 연골로 만들어진 원형 튜브 모양입니다. 강아지 기관지가 늘어나게 된다거나 혹은 탄력을 잃게 될 경우에 협착증에 걸렸다고 합니다. 강아지의 정상적인 기관은 끝의 단면이 동그란 모양을 형성하고 있어야 하지만 기관지가 눌려 납작해진다거나 늘어날 경우에는 켁켁 혹은 거위 소리가 납니다. 이처럼 폐에서 기도가 좁아져 호흡에 문제가 생기는 질병으로 기관지에 염증이 생겨 계속해서 기침을 유발합니다. 주로 소형 강아지에서 많이 발병하게 됩니다.

 

2. 강아지 기관지 협착증 원인

강아지 기관지 협착증 원인으로는 알레르기, 감염, 호흡기 질환 등이 원인이 되고 유전적 요인으로 선천적으로 강아지 기관지의 탄력이 낮을 경우에는 협착증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노화 또한 기관지 협착증 원인이 됩니다. 연기, 먼지, 화학 물질과 같은 공기 중 자극적인 물질에 노출되는 것이 강아지 기관지협착증 증상을 유도한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기관지 협착증이 잘 걸리는 견종은 요크셔테리어, 치와와, 불독, 시츄, 퍼그, 포메라니안, 말티즈 등이 있고 보통 소형견 또는 단두종 강아지에게서 많이 발생합니다.

 

3. 강아지 기관지 협착증 증상

기관지 협착증의 경우 기관 내강이 얼마나 좁아졌냐에 따라서 단계적 증상을 보이게 됩니다. 1단계는 25% 좁아진 상태로 기관지가 가볍게 늘어진 상태로써 갑자기 흥분하게 된다거나 무리한 운동을 하게 되었을 경우 강아지 기침 증상이 나타나고 2단계는 50% 좁아진 상태로 원형의 튜브 형태 기관의 변형이 일어나는데 무리한 운동을 하지 않고 일상생활을 하며 물이나 사료를 먹을 때에도 기침 증상이 보이게 됩니다. 3단계는 75% 좁아진 상태로 움직임이 없는 상태 즉, 가만히 앉아있거나 엎드려 있는 상황에서도 증상이 나타나며 4단계에서는 기관지가 납작해진 상태로써 호흡 자체가 어려울 확률이 높습니다.

 

4. 강아지 기관지 협착증 치료법

치료방법으로는 우선 강아지가 반복적으로 기침을 하거나 혹은 거위 소리를 낸다면 동물 병원을 내원해 엑스레이, 피검사와 같은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초기 단계에서는 약물 복용과 정상적인 호흡을 할 수 있는 호흡기 치료를 병행하게 되고 단계가 높은 위험한 상황에서는 내외부 보형물을 추가하는 외과 수술까지 진행되는 게 강아지 기관지 협착증이기 때문에 증상이 보이게 된다면 가볍게 넘기지 말고 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응급 처치로는 산소마스크를 통해 산소를 공급하거나 기관 확장 주사제와 진정제 객담완화제 등을 투여합니다.

 

5. 강아지 기관지 협착증 관리법

강아지 기관지 협착증 관리 방법으로는 첫 번째로 체중 관리를 해야 합니다. 기관지 협착증은 체중이 늘어날수록 그 증상이 심해지고 반대로 체중이 줄어드는 경우에는 증상이 호전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체중이 늘게 되면 비만으로 인해 흉강 내의 환기 용적이 줄어들게 되면서 기관의 압박이 심해지게 되고 기관협착증 증상 또한 더 심해지게 됩니다. 두 번째는 반려견의 흥분 조절입니다. 기관협착증의 주 증상은 기침과 호흡곤란이기 때문에 흥분했을 때 더 심하게 증상이 발현됩니다. 강아지를 만났을 때 격하게 반응해 주면서 흥분시키는 행동을 자제하고 규칙적이고 안정된 산책을 해주어야 합니다.

'반려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메라니안의 모든것  (1) 2025.03.25
강아지 봄 산책 준비 및 주의사항  (3) 2025.03.24
강아지 심장병에 대해서  (0) 2025.03.22
강아지 항문낭에 대해서  (2) 2025.03.21
강아지 유루증에 대해서  (2) 2025.03.20